전체 글399 [Infra][ENV] eGPU 구성기 #1 - AMP BOX MINI / GTX 1060 3G 구매 인공지능 삼총사 ML/DL/RL을 제대로 해보기 위해서는 여러가지가 필요한데 그들중 가장 핵심중의 핵심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GPU 아닐까? 뭐 없다고 해서 꼭 못할 것은 아닌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한번 해보려한다면 반드시 갖춰야한다 생각한다. 그간 공부삼아 노트북으로만 간단간단한 것들 해봤는데 이제는 좀 본격적으로 공부와 연구를 해보고자 마음을 먹으니 어떻게든 GPU 기반으로 해야할 듯하는 필요성을 느꼈다. 마음같아서야 말그대로 제대로 한번 장비빨로 밀어붙여보고 싶지만 아이들 키우며 대학원 다니고 하다보니 쓸 수 있는 자원은 한정적이라 학습 환경으로 타협을 좀 해야하는 상황이다, 애석하게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정에서 갖춰볼 수 있는 여러가지 가능성을 검토해봤는데, 노트북이 이미 3대나 있는.. 2022. 8. 30. [서평][IT개발][도구] 모두의 깃 & 깃허브 / 길벗 과거에도 소스 형상 관리가 중요한 업무중 하나였다. 무형이지만 IT기업의 자산인 소스를 안전하게 관리한다는 것은 소위말해 내 곳간을 잘 지키고 관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지... 또한 작게는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협업을 위해서도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MS Project 등 다양한 형상관리/협업도구가 있었지만 이제 왠만해선 Git과 Github를 사용하는 것이 사실상 표준(de facto standard)이 된 시대에 살고 있다. 특히나 요즘 Github는 단순히 형상관리나 협업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정보나 자료의 아카이빙 도구로 활용되기도 하고 스터디 자료공유 또는 그것을 넘어서 지식을 공유하는 창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제 IT를 한다고하면 Git 계정 정도는 기본적으로 가지고 .. 2022. 8. 9. [맛집][대전] 슴슴한 평양식 냉면 - 숯골원 냉면(본점) 날씨가 날씨다 보니 차고 시원한 음식을 종종 챙겨먹게 된다. 차고 시원한 음식이라 해봐야 냉면이나 콩국수 처럼 대표적인것 몇 종류가 다이지 않나? 함흥식 물냉면이나 비빔냉면도 좋지만 가끔은 진짜 이상하리만큼 가끔은 슴슴한 평양식 냉면이 땡길때가 있다. 대전에 그 슴슴한 평양식 냉면을 제대로 하는 집이 있어 가끔 들리는데 그곳이 바로 숯골원 냉면 이다. 건물 하나가 통째 냉면집인데 가게 바로 앞에 있는 노상 주차장과 전용 주차장에는 밥때든 아니든 차들이 거의 꽉차있고 빈자리 생길때 마다 차들이 들락날락한다, 그만큼 테이블 회전이 빠르다. 4대째... 선대에서 일제강점기 평양에서 냉면집을 했었고 한국전쟁때 피난와서 대전에 자리를 잡고 지금은 4대째 냉면을 하고 있다는 스토리가 있다. 평양에서 직접 냉면을 먹.. 2022. 8. 8. [서평][데이터분석] 데이터 리터러시 / 비제이퍼블릭 빅데이터... 불과 몇년전 빅데이터 광풍이 불었다. 1990년대 인터넷의 대중화, 모바일 혁명 등을 거치면서 디지털 데이터의 생산은 어디에서나 이루어지고 있고 수집되고 있다. 그리고 그 데이터를 비즈니스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빅데이터 열풍에 힘입어 가속화 되고 있다. TIBCO Spotfire 와 같은 시각화 분석 도구들을 이용해서 손쉽게 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는 환경이 보급되고 있고 R이나 Python 등 여러 통계분석 패키지나 ML/DL 모듈들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에 효과적인 언어들의 보급 등에 힘입어 데이터 분석 조직이나 개발/운영 조직 뿐만 아니라 어떤 조직이던 필요에 따라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여건과 문화가 조성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데이터 리터러시라... 애시당초.. 2022. 7. 29. [스터디][논문리뷰][오픈] RL 논문 리뷰 스터디 #3 - 벌써 8주... 다음을 기약하며... [스터디][논문리뷰][오픈] RL 논문 리뷰 스터디 #1 - 지원 그리고 합격 [스터디][논문리뷰][오픈] RL 논문 리뷰 스터디 #2 - 커다란 벽, 그리고 삽질 [스터디][논문리뷰][오픈] RL 논문 리뷰 스터디 #3 - 벌써 8주... 다음을 기약하며... 시간 참 빠르다, 벌써 예정됐던 8주가 지났고 그 마지막 스터디 모임 발표가 좀전에 끝났다. 마지막 발표와 토론, 마지막 일분일초까지 진국이 아닐 수 없다. 해보고 싶었고 해야할 필요성은 항상 느끼고 있었지만 그간 이런저런 이유로 애써 외면하던 것을 벗어나 한발짝 다가가봤다는 점에서 큰 걸음 내딛었다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그간 외면하고 망설였는지를 확인하는 시간이었기도 하다. 강화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부족함을 너무나 잘알기에 이리저리 애둘러 외면.. 2022. 7. 25. [서평][데이터분석] 비즈니스 데이터 과학 / 한빛미디어 몇년전 빅데이터란 말이 인구에 회자되던 시기가 있었다. 여전히 데이터 홍수의 시대에 살고 있지만 빅데이터란 말은 이제 좀 식상하기도 하고 너무 일반화 됐다고 해야하나? 아무튼 그런 시절이다... 지금은... 어디든 데이터가 넘처나지만 아직까지도 우리가 이 데이터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일부 데이터를 이용한 비즈니스에 성공한 기업이나 분야는 있지만 아직까지도 우리 인류 문명은 우리가 생산한 이 엄청난 데이터를 잘 활용하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 수많은 데이터 중에서 의미있는 무언가를 찾아내는 것은 그만큼 어렵다... 데이터 하면 통계가 먼저 떠오른다... 통계적 분석 기법은 전통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이고 여전히 유효하다... 경제학은 전통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전통적인 분야이고.. 2022. 7. 24. 이전 1 ··· 5 6 7 8 9 10 11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