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수업 교재라 공부도 하고 연구해서 발표도 좀 하고 할려면 엔지니어다 보니 소스를 좀 돌려봐야 이해도 더 빠르지 않을까? 간만에 손품 좀 팔아야지...
도커 컨테이너에 올려보자
OS : Ubuntu 18.04
Step.1 도커 컨테이너 생성
주피터 노트북을 돌릴려면 포트포워딩을 해서 생성하자!

Step.2 ifconfig 설치
Ubuntu 도커 이미지는 그야말로 깡통이라 net-tools를 설치해야지, 설치 방법은 아래 포스트를 참고
newprivatemarine.tistory.com/132?category=728695
[cloud][docker][ubuntu] 우분투 리눅스에 ifconfig 설치하기
ifconfig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주요 유틸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리눅스에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는데, 도커에 설치하는 초기 이미지는 최소화된 패키지로 버전에 따라 설치가 되어 있지 않��
newprivatemarine.tistory.com
Step.3 pip 설치
파이썬 모듈 설치를 위해서 python 기반의 pip 설치 한다, y/n 물어보면 당빠 y 선택...
그리고 upgrade


Step.4 pip 사용을 위한 간단한 터치와 설치되어 있는 내용 확인 그리고 에디터 설치
pip 설치가 끝나면 파이썬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할 수 있는데 pip3 xxxx 형태로 해야하니 심볼릭 링크 만들어서 살짝 편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든다
▶ ln -s ./pip3 ./pip

그리고 환경설정 파일들 수정할려면 에디터도 설치 한다, 앞서 이야기 한대로 컨테이너용 이미지는 그냥 깡통이다.
▶ apt install vim

Step.5 git 설치
소스를 받아 돌려볼려면 git을 설치해야지~
▶ apt install git

Step.6 소스 다운로드
소스 받고 최신 파일인지 확인

Step.7 가상환경 구성
virtualenv 설치
▶ pip install virtualenv virtualenvwrapper

환경변수 설정위해 기본 로그인 쉘인 bash sell의 환경설정 파일에 수정하고 실행


Step.8 가상환경 생성
▶ mkvirtualenv generative

Step.9 소스를 돌려보기 위한 패키지 설치 및 확인
▶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케라스 버전 확인으로 필수 패키지가 설치 되었는지 확인함

Step10. 주피터 노트북 환경설정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하기 위해서 IP/PORT 관련 설정을 해줘야 한다, 소스를 내려받은 디렉토리에 jupyter_notebook_config.py 파일을 생성하고

파일에는 IP와 PORT 관련 내용을 설정

※ 컨테이너의 IP정보를 ifconfig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tep.11 주피터 노트북 실행
참고로 브라우져에서 접속하기 위해서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할때의 토근값이 필요하다
▶ jupyter notebook --allow-root

Step.12 주피터 노트북 접속
이렇게 토큰 없이 접속하면 토큰값 입력하라고 뜬다.
▶ http://localhost:8080

토큰 넣고 로그인 하면 이렇게 소스가 보인다.

이로서 소스들을 뜯어 볼 수 있다.
Step.13 재시작
도커를 재시작하거나 했을때 주피터 노트북 다시 실행하는 방법
▶ workon generative
▶ jupyter notebook --allow-root

※ 가상환경 빠져나올때 : deactivate
'마린일병의 열정이야기 > ML & DL & RL'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fra][ENV] eGPU 구성기 #1 - AMP BOX MINI / GTX 1060 3G 구매 (0) | 2022.08.30 |
---|---|
[Lib][Tensorflow][설치] Python 3.7 + Tensorflow 2.1.0 + Keras 2.3.1 설치하기 (0) | 2020.05.23 |
댓글